웹표준,웹접근성(html, html5, css, css3, javascript, jQuery, jQueryMobile, snecha, senchaTouch, php, mobileWebApp)
숫자와 문자열 형 변환, Number(), Strimg(), Boolean() 본문
숫자와 문자열 형 변환
console.log('12 + 123');
console.log(12 + 123);
console.log('12' + 123);
console.log(12 + '123');
console.log('12' + '123');
console.log('12 + 123');
console.log(12 + 123);
console.log('12' + 123);
console.log(12 + '123');
console.log('12' + '123');
console.log('12 + 123');
console.log(12 + 123);
console.log('12' + 123);
console.log(12 + '123');
console.log('12' + '123');
위 코드를 실행해 보면 아래의 결과값을 볼 수 있다.
(문자열을 표기할때는 홑따옴표 '' 또는 쌍따옴표 "" 로 표기한다.)
숫자와 문자열 덧셈 연산에서는 문자열이 우선된다.
그래서 두번째를 제외한 나머지값들은 문자열로 처리 되어 계산된 결과이다 .
덧셈을 제외한 나머지 사칙연산에서는 숫자가 우선되어 계산된다.
첫번째를 제외한 나머지4개는 숫자값으로 곱하기 연산이 적용된것을 알수 있다.
강제 형 변환
Number(); - 자료형을 숫자로 바꿀때
String(); - 자료형을 문자로 바꿀때
ex) 강제로 data type 바꾸기
var str = '12345' // str이라는 변수에 문자열로 12345 저장
num = 100; // num변수에 숫자값 100 저장
var writeStr = Number(str), // 문자열 12345를 숫자값으로 형 변환
writeNum = String(num); // 숫자값 100을 문자열로 형 변환
console.log(typeof(writeStr)); // writeStr의 데이터 타입 출력
console.log(typeof(writeNum)); // writeNum의 데이터 타입 출력
불리언 자료형의 변환
Boolean()
- 불리언값으로 형변환 시켜준다.
- undefined 자료형은 false 이다.
console.log(Boolean(0));
console.log(Boolean(NaN));
console.log(Boolean(''));
console.log(Boolean(null));
console.log(Boolean(undefined));
위의 다섯가지 코드의 경우 false 로 반환해 주고
이 다섯가지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true 가 된다.
조건문이나 논리 부정연산자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불리언 값으로 형변환 시킬수도 있다.
'javascript > Tutoria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복문 (while, do while, for, for in) (0) | 2013.11.22 |
---|---|
조건문 if(), switch, 삼항연산자 (0) | 2013.11.12 |
undefined 자료형 (0) | 2013.11.04 |
array(배열) (1) | 2013.11.04 |
jascript prompt(입력), confirm(확인) (0) | 2013.10.30 |